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근로장려금, 도대체 얼마 벌어야 받을 수 있는 거지?
소득이 얼마인지에 따라 받을 수 있느냐, 얼마를 받을 수 있느냐가 결정되기 때문에
소득 기준표는 근로장려금에서 가장 핵심적인 정보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을 위한 소득기준표를
가구 유형별로 나눠 자세히 설명하고,
사례를 통해 실제 계산법도 함께 알려드릴게요.
✅ 근로장려금 소득기준표 총정리 (2025년 기준)
2025년에는 2024년 귀속 소득을 기준으로 심사합니다.
소득은 근로소득, 사업소득, 종교소득이 포함됩니다.
📌 1. 신청 대상 소득 기준표
가구 유형연간 총소득 기준
단독가구 | 2,200만 원 이하 |
홑벌이 가구 | 3,200만 원 이하 |
맞벌이 가구 | 3,800만 원 이하 |
✅ 총소득이 이 기준 이하이면 신청 가능
단, 재산 기준(2억 4천만 원 이하)도 동시에 만족해야 함
📌 2. 장려금 최대 지급액
가구 유형최대 지급 금액
단독가구 | 150만 원 |
홑벌이 가구 | 260만 원 |
맞벌이 가구 | 300만 원 |
단, 실제 지급액은 총소득과 재산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.
🟦 소득 구간별 지급액 계산 방식 (간단 공식)
근로장려금은 단순히 "소득이 낮으면 무조건 많이 받는다"가 아닙니다.
중간소득 구간에서 가장 많이 지급되고,
그보다 낮거나 높으면 점점 줄어드는 **역U자 형태(∩)**로 계산됩니다.
✔ 예시 공식 구조
- 기본 구간 (소득 낮음): 일정 비율로 지급금 증가
- 최대 구간 (소득 중간): 최대금액 지급
- 감소 구간 (소득 많음): 소득 증가 시 지급금 감소
🟨 실제 예시로 보는 소득별 지급액
예시 1) 단독가구 – 연 소득 900만 원
- 총소득: 900만 원
- 최대 지급 기준에 근접한 구간
✅ 약 130만 원 내외 지급 예상
예시 2) 홑벌이 가구 – 연 소득 2,800만 원
- 총소득: 기준보다 낮지만 감소구간
✅ 약 150만 원 내외 지급 가능
예시 3) 맞벌이 가구 – 연 소득 3,600만 원
- 총소득이 거의 상한선에 근접
✅ 약 100만 원 이하 지급 가능
🧾 총소득 계산 시 포함되는 항목
근로장려금 신청 시 "총소득"은 아래 항목들이 포함됩니다:
- 근로소득 (급여, 일용직 소득 등)
- 사업소득 (프리랜서, 자영업자 포함)
- 종교소득 (목회자 등)
- 이자·배당소득, 연금소득, 기타소득도 일정 조건에 따라 일부 포함
🛠 나의 소득 기준, 어디서 확인하나요?
- 홈택스
- [My 홈택스 > 지급명세서 > 총소득 확인]
- 손택스 (모바일)
- “신청 자격 확인” 메뉴 통해 간편 확인 가능
- 국세청 전화 126번
- 상담사 연결 후 주민번호 및 소득 정보 제공 시 직접 확인 가능
❓ 소득이 초과되면 어떻게 되나요?
- 초과 시 신청 불가
- 단, 일부 재산 기준 내에서는 지급액 감액 후 일부 지급 가능
(예: 재산이 1억 5천이면 50% 감액 지급)
✅ 함께 보면 좋은 정보
🟩 마무리 요약
- 근로장려금은 가구 유형에 따라 소득 기준이 다릅니다.
- 소득은 낮다고 무조건 많이 받는 것이 아니라, 적정 소득 구간에서 가장 많이 받습니다.
- 홈택스 또는 손택스에서 자가진단이 가능하니 꼭 확인해보세요!
반응형